목 / 허리디스크

목 / 허리디스크
척추뼈 사이에는 뼈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추간판)'가 있습니다. 디스크 중앙에는 수핵이라는 젤리 같은 물질이 있습니다. 그 주위에는 수핵을 둘러싸는 섬유륜이라는 두꺼운 막이 있습니다. 허리 주변의 근육과 인대에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디스크는 점차 퇴화되고 약해집니다. 어떤 충격에 의해 이 디스크가 찢어지거나 수핵이 새어나와 신경을 압박하고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증상
(목디스크) 목이 불편하고, 통증이 있습니다.
(목디스크) 목에서부터 시작하여 어깨 부분에 통증이 발생, 팔이 아프고 손가락이 저립니다.
(목디스크) 심한 경우 팔에 힘이 빠지거나, 물건을 집는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허리디스크) 찌릿찌릿하거나 당기는 듯 아픈 통증이 엉치에서부터 다리까지 아래로 뻐쳐 나가는 증상(방사통)이 나타납니다.
(허리디스크)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앉을 때 그리고 기침을 할 때 통증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 허리나 엉덩이 부위에 묵직한 통증이 있습니다.
(허리디스크) 다리의 근력이 감소되어 다리에 힘이 없고 다리가 무겁게 느껴집니다.
(허리디스크) 다리의 감각이 이전과 다르게 느껴집니다.
(허리디스크) 심할 경우 대소변 장애가 나타납니다.
진단
하지직접거상검사로 디스크 여부를 판단한 후 하지의 근력, 감각, 신경반사 검사를 시행하여 신경기능의 이상 유무를 평가합니다. X-ray 검사를 통해 좁아진 척추 간격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MRI검사를 통해 디스크 탈출 여부와 정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정병원만이 특징
-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의료인이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합니다.
- 환자분께 가장 적합한 최선의 치료를 제안합니다
- 비수술 치료를 기본 원칙으로 하며, 수술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합니다.
- 비수술 치료 :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며칠 동안 침상 안정을 취하고 골반 견인 및 물리 치료를 시행합니다. 진통제 및 근육 이완제 등의 약물치료가 병행됩니다. 급성기 증상이 사라지면 복대나 보조기를 착용하고 활동할 수 있습니다. 복대나 보조기를 장기간 착용하면 등 근육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요근, 둔근, 복근, 대퇴사두근의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합니다. 신경차단술은 신경의 유착과 염증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눌린 신경을 풀어 통증을 완화합니다. 실시간으로 병변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C-arm 장비를 통해 매우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 수술 치료 : 심한 통증, 신경마비, 발가락/발목 근력 저하, 대소변장애 등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긴다면, 수핵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릅니다.